728x90
반응형
미로 탐색 문제는 노드 사이의 최단 거리를 구하는 문제이다. 노드 간 최단 거리를 구할 때는 BFS를 사용할 수 있다. BFS 알고리즘 특성상 그래프에서 노드간 최단 거리를 찾기 때문이다.
BFS의 일반형에서 약간의 변형을 통해 코드를 구현할 수 있다.
BFS 일반형은 다음 게시물에서 참고할 수 있다.
2021.09.07 - [알고리즘/문제풀이] - [알고리즘/문제풀이][BOJ 1260번] DFS와 BFS
[알고리즘/문제풀이][BOJ 1260번] DFS와 BFS
DFS와 BFS는 DFS와 BFS에 대한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중요한 문제입니다. DFS와 BFS에 대한 충실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DFS의 경우 처음 발견된 노드를 기준으로 그 노드에 연결된 노드들을 탐색(DFS)를
ark-hive.tistory.com
문제에 대해 작성한 코드는 다음과 같다.
#include<stdio.h>
#pragma warning(disable : 4996)
//https://ark-hive.tistory.com/
int M, N;
int dx[] = { 0,0,1,-1 };
int dy[] = { 1,-1,0,0 };
int map[120][120];
int wp, rp;
struct Queue {
int x;
int y;
int time;
};
struct Queue queue[20000];
struct Queue temp;
void enqueue(int x, int y, int time) {
queue[wp].x = x;
queue[wp].y = y;
queue[wp].time = time;
wp++;
}
struct Queue dequeue() {
return queue[rp++];
}
int empty() {
return wp == rp;
}
int main(void) {
scanf("%d %d", &N, &M);
for (int i = 1; i <= N; i++) {
for (int j = 1; j <= M; j++) {
scanf("%1d", &map[i][j]);
}
}
enqueue(1,1,1);
map[1][1] = 2;
while (!empty()) {
temp = dequeue();
if ((temp.x == M) &&( temp.y == N)) {
printf("%d\n", temp.time);
break;
}
for (int k = 0; k < 4; k++) {
int nx = temp.x + dx[k];
int ny = temp.y + dy[k];
if (nx < 1 || nx > M) continue;
if (ny < 1 || ny > N) continue;
if (map[ny][nx] != 1) continue;
enqueue(nx, ny,temp.time+1);
map[ny][nx] = 2;
}
}
return 0;
}
문제의 지문은 다음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전공 > Problem Solv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문제풀이][BOJ 7569번] 토마토 (0) | 2021.09.13 |
---|---|
[알고리즘/문제풀이][BOJ 7576번] 토마토 (0) | 2021.09.12 |
[알고리즘/문제풀이] [BOJ 1012번] 유기농 배추 (0) | 2021.09.10 |
[알고리즘/문제풀이][BOJ 2667번] 단지번호붙이기 (0) | 2021.09.09 |
[알고리즘/문제풀이][BOJ 2606번] 바이러스 (0) | 2021.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