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개의 컴퓨터를 연결하면 강력한 성능의 컴퓨터를 만들 수 있다는 생각, 클럭을 올리거나, CPI를 개선하는 것보다 에너지 측면에서 더욱 유리한 상황 -> 멀티프로세서(2개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성된 컴퓨터 시스템)의 등장 장점으로 소프트웨어가 프로세서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작고 효율적인 프로세서로 단위 에너지당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프로세서를 늘리기만 하면 되므로 확장성있는 컴퓨터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가 확장성이 있다면 일부 하드웨어가 고장이 나도 처리를 그대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가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멀티프로세서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라 다른 용어를 사용한다. 독립적인 프로그램을 여러 개 실행하는 것을 태스크 수준 병렬성(task-leve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