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AC문제는 큐를 활용한 문제이다. 큐의 pop을 활용하는 문제로 뒤집기 함수로가 추가된 문제이다. 뒤집기의 경우 pop할 때 경우에 따라 head와 tail 중 1개를 선택하여 1만큼 이동시키면 된다. 주의할 점은 테스트 케이스의 입력이 큰 편이라 수행시간에 여유가 없다는 점이다. 가능하면 O(n+p)의 시간에 수행하여야 한다.
문제를 풀면서 놓쳤던 부분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모든 처리를 하고 출력을 할 때 출력형식에 맞추어 출력하는 것에 모든 것의 성패가 달렸다는 점을 느낄 수 있었다. 다 풀었다고 느꼈을 때 자만하지 말고 끝까지 주의를 기울여 풀어야 한다는 점이다. 입력에서도 입력 버퍼에 무엇이 있는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점이다. ps에서 끝까지 방심하지 말라는 교훈을 얻은 것 같다.
작성한 코드는 다음과 같다.
#include<stdio.h>
int T;
char function[100020];
int n;
int element[1000020];
int head, tail;
int r_flag;
int k;
int x;
int temp;
int main(void) {
scanf("%d", &T);
for (int i = 0; i < T; i++) {
k = 0;
head = 0;
tail = 0;
r_flag = 0;
x = 0;
scanf("%s", function);
scanf("%d%*c",&n);
getchar();
for (int j = 0; j < n; j++) {
x = 0;
while ((temp = getchar()) != ',' && temp != ']') {
x = x * 10;
x = x + temp - '0';
}
element[j] = x;
}
getchar();
tail = n;
while (function[k] != 0) {
if (function[k] == 'R') {
r_flag = (r_flag + 1) % 2;
}
else {
if (head == tail) {
printf("error\n");
break;
}
else {
if (r_flag == 0) {
head = head + 1;
}
else {
tail = tail - 1;
}
}
}
k++;
}
if (function[k] == 0) {
printf("[");
if (r_flag == 0) {
for (int j = head; j < tail - 1; j++) {
printf("%d,", element[j]);
}
if (head == tail) printf("]\n");
else printf("%d]\n", element[tail - 1]);
}
else {
for (int j = tail-1; j >head; j--) {
printf("%d,", element[j]);
}
if (head == tail) printf("]\n");
else printf("%d]\n", element[head]);
}
}
}
}
문제의 지문은 다음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전공 > Problem Solv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문제풀이/BOJ 1037번] 약수 (0) | 2021.07.10 |
---|---|
[알고리즘/문제풀이/BOJ 5086번] 배수와 약수 (0) | 2021.07.10 |
[알고리즘/문제풀이/BOJ 1021번] 회전하는 큐 (0) | 2021.07.08 |
[알고리즘/문제풀이/BOJ 10866번] 덱 (0) | 2021.07.08 |
[알고리즘/문제풀이/BOJ 1966번] 프린터 큐 (0) | 2021.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