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25

at, on, in 시간 전치사

1. at 다음에는 시간, 시점과 관련된 표현들이 쓰인다. on 다음에는 요일, 날짜, 특정 요일의 시간대, 특별한 날 등에 쓰인다. 2. the weekend, weekends와 쓰일 때는 on을 반드시 써야 하며 그 외의 경우에는 생략이 가능하다. 3. in은 달, 연도, 계절, 시간대와 함께 쓰인다. 4. this, last, next, every가 같이 쓰이는 경우 전치사 (in / at / on)을 쓰지 않는다. 5. In 다음에 분, 날, 주, 연 등의 기간이 올 때는 그 만큼의 이후 시점을 나타낸다.

관계대명사

1. 어떤 단어가 한 문장에서는 주어로 쓰이고 다른 한 문장에서는 목적어로 쓰일 때, 관계대명사를 사용하여 2개의 문장을 1개의 문장으로 합칠 수 있다. 그 단어가 주어로 오는 문장에서 주어를 제거하고 나머지 문장 성분들을 관계 대명사를 이용하여 다른 문장에서 목적어로 쓰이는 그 단어 뒤에 붙인다. 그 단어가 사람을 의미한다면 who, that 관계대명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통 who가 많이 쓰인다. 그 단어가 사물을 의미한다면 which, that 관계대명사를 사용할 수 있다. 관계 대명사 뒤에 주어가 없는 경우에는 관계 대명사를 생략할 수 없다.2. 관계 대명사 뒤에 주어가 있을 경우 관계 대명사는 생략할 수 있다. 관계 대명사로 수식되는 단어가 수식하는 절에서는 in, at, to 등의 전치사 뒤..

삶이란 무엇일까?

인생이 삶과 죽음만으로 느껴진다면 참으로 덧없게 느껴질 것이다. 초월자라면 긴 시간을 바라보기에 그렇게 느낄 것이다. 하지만 인생의 삶을 길게 늘려서 바라본다면 오르락 내리락하는 순간들이 수없이 많이 나타난다. 그런 곡절들이 만들어내는 선율에 귀를 기울여보면 우리의 인생이 참으로 아름답다는 생각이 든다. 장구한 세월을  견뎌내는 존재가 아닌 짧은 순간의 인간으로써 흐름 속에 몸을 맡기며 행복하게 살아가고 싶다.

카테고리 없음 2025.03.04

[unipro 2.0] unrolling IDLE sequence란 무엇인가?

unipro 2.0 스펙을 공부하던 도중 unrolling IDLE sequence를 언급한 문단에서 의문이 떠올랐다. spec 어디에서도 unrolling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의미를 이해하지 못했다. 해당 spec을 제정한 MIPI alliance의 bugzilla라는 홈페이지에서 해당 문장이 포함되기까지의 논의 과정를 발견할 수 있었다. 1. 정상적인 IDLE sequence라면 mk3 부터 시작해서 로 종료될 것이다. 2. 하지만 IDLE sequence 전송 중 발생한 오류로 인해 의도하지 않은 symbol으로 바뀌어 전송될 수 있다. 2-1. 중간에 발생한 오류라면 IDLE sequence이 종료되지 않으며 (IDLE sequence에 대한 처리인 unrolling도 계속 수행)..

전공/unipro 2.0 2023.12.23

[verilog] cache_controller 스펙 정리

외부 표현 포트 // with controller input directory_start output directory_done output hit_state -> hit_state에 따라 컨트롤러가 rsp_valid, req_ready를 보낼 것인지 확인함. // with core input [31:0] directory_address input [31:0] directory_input_data input [31:0] directory_wren output [31:0] directory_output_data // LRU는 디렉토리 내부에 내장하기 // with WB output w_address; output w_data; input w_done; // with FETCH output f_address..

카테고리 없음 2023.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