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 70

[경제학/원론] 시장에 대한 정부의 역할

정부는 보이지 않는 손이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각 개인의 재산권(property right)를 보장한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시장에 작용하는 보이지 않는 손이 공동체의 경제적 후생을 증진시키도록 작용하지만 시장 실패(market failure)의 경우에는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는 것이 요구된다. 시장 실패(market failure)는 시장에서 자원이 효율적으로 분배되지 않는 상황을 의미한다. 시장은 한 사람의 행동이 제3자의 경제적 후생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효과를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효율을 증진시키지 못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개인이나 기업에 의해 시장 지배력(market power)이 행사되는 경우에도 시장 전체를 고려하면 자원 분배의 효율이 감소할 수도 있다. 이때 정부가..

[경제학/원론] 시장경제(market economy)

시장에서 많은 기업과 가계가 스스로의 이익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의사결정을 내린다. 이때 가격과 이윤이 그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거래가 이루어지면서 시장 전체의 경제적 후생도 증가하는 데 이러한 의도치 않은 바람직한 성과에 대해 국부론을 저술한 애덤 스미스는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하였다고 한다.

[경제학/원론] 합리적 선택은 한계적 변화(marginal changes)에 대한 편익과 비용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대개 많은 경우 어떠한 상황 속에서 선택하게 된다. 이때 현재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작은 변화를 한계적 변화(marginal changes)라고 한다. 이러한 한계적 변화는 상황의 마지막에서 이루어지며 그때의 변화로 인한 편익과 비용을 고려하여 편익이 더욱 커지도록 하는 방향으로 선택이 이루어진다. 이때 편익과 비용은 현재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평가된다. 대개 소유량, 소비량 등의 상태에 따라 편익과 비용이 결정되기도 한다. 이러한 한계적 변화는 오로지 현재 시점만을 고려한 선택이므로 전체적인 경제적 이익과 거리가 있을 수 있다.

[경제학/원론] 선택의 대가에는 시간적인 비용(기회비용)도 포함된다.

어떠한 선택을 하였을 때 발생하는 비용은 그것을 함으로써 추가로 발생하는 비용을 포함한다. 그중에 시간적인 비용, 즉 기회비용(opportunity cost)으로 불리는 비용도 있다. 어떠한 선택을 했을 때 그 선택으로 인해 반드시 할 수 없게 되는 모든 것의 가치를 비용으로 환산해야 한다.

[메이플스토리][업적]페리온의 심부름꾼

레벨 210의 미하일 캐릭터로 페리온의 심부름꾼 업적을 달성하려고 했으나 페리온의 평화와 자칭 페리온 최고의 요리사 퀘스트를 받을 수가 없었다.... 인터넷에서 열심히 검색을 해본 결과 레벨 20이상의 모험가 직업으로만 받을 수 있는 퀘스트였다. 이 글을 읽는 독자가 만약 페리온의 심부름꾼 업적을 깨고자 한다면 레벨 20 이상의 모험가 캐릭터를 보유하기를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