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FS와 BFS는 DFS와 BFS에 대한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중요한 문제입니다. DFS와 BFS에 대한 충실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DFS의 경우 처음 발견된 노드를 기준으로 그 노드에 연결된 노드들을 탐색(DFS)를 하는 알고리즘입니다. 여기서 눈치챌 수 있듯이 DFS는 재귀함수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BFS는 너비우선탐색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루트 노드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입니다. 즉, 루트 노드에서 거리가 1인 노드들을 전부 탐색한 다음 거리가 2인 노드를 탐색하는 방식으로 탐색이 진행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탐색하기 위해 BFS는 '큐'라는 자료구조를 활용하여 구현할 수 있습니다. 큐, DFS, BFS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1.07.07 - [알고리즘/이론]..
구매자가 공급하고 싶은 혹은 공급할 수 있는 재화의 양을 공급량(quantity supplied)라고 한다. 공급량은 가격 등 여러 변수에 의해 결정된다. 가격에 따른 공급량을 공급표(supply schedule)로 정리할 수 있고 그래프 상에서 공급곡선(supply curve)로 표현할 수 있다. 다른 변수들이 변하지 않는다고 할 때 가격에 따른 공급량의 변동을 공급의 법칙(law of supply)라고 한다. 시장의 공급량은 개인의 공급량의 총합과 같다. 공급량을 결정하는 다른 변수들에는 재료 가격, 생산 기술, 미래에 대한 기대, 공급자의 수 등이 있다. 가격에 따른 공급량의 변화는 공급곡선 상의 움직임으로 나타나지만 이외의 변수에 의한 공급량의 변화는 공급 곡선의 평행이동을 유발한다.
수요에는 다양한 변수들이 영향을 미친다. 변수들의 영향에 의해 특정 가격에서의 재화의 수요량은 늘어나거나 줄어든다. 그래프 상에서 보면 수요 곡선이 전체적으로 오른쪽으로 이동하거나 왼쪽으로 이동한다. 수요가 증가하면 오른쪽, 감소하면 왼쪽으로 이동한다. 소득은 수요에 영향을 준다. 소득이 증감에 따라 수요 또한 증감한다. 소득의 증감과 비례하는 수요 특성을 가진 재화를 정상재(normal good)라고 한다. 소득의 증감에 반비례하는 수요 특성을 가진 재화는 열등재(inferior good)라고 한다. 상품 간 연관성에 의해 한 재화의 가격이 변할 때 다른 재화의 수요량도 같이 변하는 재화가 있다. 이러한 재화들을 대체제(substitutes), 보완재(complements)라고 한다. 대체제는 한 재화..
시장에서는 구매자에 의해 수요가 결정된다. 구매자가 사고 싶은 혹은 살 수 있는 재화의 양을 수요량(quantity demanded)라고 한다. 수요량은 재화의 가격이 내려가면 증가하고 올라가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을 수요의 법칙(law of demand)라고 한다. 사실 수요에는 가격 이외에도 다른 변수들이 영향을 미치는 데 이러한 변수들이 모두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가격에 따른 수요량을 수요표(demand schedule) 형태로 정리할 수 있다. 이를 그래프에서 나타내면 수요 곡선(demand curve)라고 한다. 시장 수요는 개인들의 수요의 합으로 나타난다.
시장(market)은 특정한 재화나 서비스를 사고 파는 사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시장에서 구매자는 수요를 결정하고 판매자는 공급을 결정한다. 시장의 종류 중 경쟁 시장(competitive market)은 판매자와 구매자가 굉장히 많아 소수의 판매자와 구매자에 의해 재화의 가격이 결정되지 않는 시장을 의미한다. 시장에서 재화의 가격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수요나 공급에서 지배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임의로 가격을 책정한 데 따라 역으로 손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완전경쟁시장에서는 가격은 거대한 시장에 의해 조정되므로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 결정된 가격을 수용해야 한다.(price takers) 완전 경쟁 시장과 반대로 독점 시장이 있다. 소수의 판매자만이 시장에 재화를 공..
비교우위(comparative advantage)는 어떤 재화를 생산할 때 더 적은 기회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똑같은 물건을 상대보다 더 적은 기회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다면 비교우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비교우위는 절대우위와 다르게 한 주체가 모든 재화에서 상대에 비해 비교우위에 있을 수 없다. 비교우위는 각각의 재화의 생산에 따라 포기해야 하는 상품의 생산 정도이므로 어느 재화에서 비교우위를 가진다면 다른 재화에서는 그 역수만큼의 높은 기회비용을 가지므로 비교우위를 가질 수 없다. 비교우위가 존재한다면 전문화와 자유거래를 통해 경제 전체의 후생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대방에 대해 비교우위를 가진 재화를 집중적으로 생산하고, 비교우위에 있지 못한 재화를 상대방과의 자유거래를 통해 획..
경제학에서는 현상을 이해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래프를 많이 사용한다. 그래프를 분석할 때 간과하지 말아야 할 사항이 있다. 그래프를 통해 인과관계를 분석할 때는 누락변수가 없도록 해야 한다. 그래프 상의 변수로 인과관계를 묘사하기 위해서는 이외의 변수들은 변하지 않는 가정이 필요하다. 가정이 제대로 성립되지 않으면 그래프에 표현되지 않은 누락변수가 인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차단할 수 없다. 인과를 뒤집어 해석하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이 또한 의미 있는 결론을 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변수의 값 변화가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관찰하여 인과를 결론지을 수도 있지만 인간은 미래에 대한 예측에 대응하여 반응하기도 한다는 점에서 반드시 가능하다고 할 수는 없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메이플스토리
- 베릴로그
- BOJ
- Push
- C++
- 큐
- 영화
- 취미
- 구조체
- 재귀함수
- 건이의 특제 떡국 끓이기
- 스택
- 구현
- 애니메이션
- 알고리즘
- BFS
- 이진탐색
- 완전탐색
- gem5
- Git
- C언어
- 정렬
- 백준
- 너비우선탐색
- Verilog
- 영어 어휘
- recursive
- 백트래킹
- 이분법
- backtracking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